전체 글 (96)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개형 ISA 일반형에서 서민형으로 전환방법, 조건, 장점 중개형 ISA를 서민형으로 전환하면 추가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민형으로 전환하는 방법, 소득 조건과 추가로 받는 세금 혜택에 대해서 공유해 보겠습니다. 요즘 일부 증권사에서는 서민형 전환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은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전환해주고 메시지를 보내주는 걸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래도 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 같은데 서민형이 아닌 일반형인 분들은 직접 전환 신청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계좌를 가지고 계신 분들 가운데 일반형인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특히 비대면으로 중개형 ISA를 가입하면 일반형으로 가입됩니다. 중개형 ISA 개설 이벤트도 종종 있어서 비대면 가입을 주로 하시는 것 같아요. 가입할 때 건강보험 납입 등으로 소득 조건 확인.. IRP 안전자산 추천 1 - KODEX 200미국채혼합 IRP, DC형 퇴직연금에서 안전자산으로 투자할 수 있는 ETF 중에서 KOSPI200과 미국 국채 10년 선물에 동시에 투자하는 KODEX 200미국채혼합을 알게 되어 소개하려고 합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 제도), DC형 퇴직연금 계좌에서는 연금저축펀드와는 달리 안전자산 30% 규정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에서처럼 위험자산으로 100% 매수하고 싶어도 증권사 HTS, MTS에서 매수 실행이 안 되는 현상을 경험해보셨을 겁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이 안전자산 30% 비중안에서 어떻게 하면 수익을 가장 많이 낼 수 있을지 고민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 안전자산 비중으로 어떤 ETF에 투자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동안 여러 채널에서 많이 추천되었고, 저 또한 투자하고 있던 ETF는 KODEX..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의 장점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노후에 연금수령을 위한 계좌로써 장기투자를 전제로 합니다. 그래서 나라에서는 국민들의 노후자금 조성을 돕기 위해 세금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 계좌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세금 혜택으로는 세금이연 혜택과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세금이연은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에서 거래 시 세금을 바로 내지 않고 뒤로 미뤄서 내도록 합니다. 나중에 만 55세 이후에 연금수령 시 3.3 ~ 5.5%의 연금소득세로 납부하게끔 하는 혜택입니다. 그리고 연말정산 때 연금저축펀드와 IRP 계좌에 입금했다면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소득에 따라서 700만 원의 13.2 ~ 16.5% 의 금액만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결정세액이 최대 환.. S&P500 ETF 투자의 장점 이 글에서는 S&P500 지수 ETF 투자의 장점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평균 수명이 많이 늘어나고 정년퇴직은 빨라진 이 시대에 우리는 평생 투자해야 합니다. 저도 단타, 가치 투자, 퀀트 투자, 자산배분투자를 공부하면서 조금 해봤습니다. 그렇지만 계속해서 증권사 MTS, HTS를 보게 되고, 본업과 삶에 계속 집중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투자해놓고 수익률은 좋으면서도 밤에 잠을 깊이 잘 수 있는 투자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찾은 방법이 S&P500 ETF 투자입니다. 물론 이 방법을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찾아낸 것은 아닙니다. "투자자라면 시장을 이겨봐야 하는 거 아니겠어?" 하면서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던 투자였습니다. 그렇지만 시장을 이기는 종목을 찾는 방법은, 전업투자자가 아닌 본업이.. 다시 S&P500 100퍼센트로 작년에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 '아마도 가장 쉬운 배당투자 설명서' 인상 깊게 읽었다. 그 후 VTI를 월 적립식으로 사모았다가 자산배분, 퀀트 투자 쪽으로 빠지면서 다 정리했다. 그때는 지수 추종 인덱스 투자가 초보자의 영역이라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당신의 주식투자는 틀렸다' 책을 접하면서 S&P500 ETF 투자가 무식하거나 초보자용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편으로 하고 있던 동적 자산배분 + 퀀트 투자는 종목을 사놓고 매도일까지 안 보고 기다릴 수가 없었다. 매일매일 MTS를 붙들고 산 건 아니지만, 안 키고 넘어가는 날은 없었던 것 같다. 확신이 적어서 그런지 전 재산을 넣을 수도 없었다. 결국 요즘의 하락장 중에 10% 손절라인에 도달해서 전부 매도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읽.. 퀀트 전략 수정, 공모주 청약 퀀트 투자 전략을 LAA와 듀얼 모멘텀 전략을 사용하기로 했다. 그리고 새롭게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청약을 알아보았다. 퀀트 투자 전략 수정 '하면 된다 퀀트 투자'를 읽고 퀀트킹 프로그램 1년권을 구매했다. 새해가 되면서 가격이 $4 올라서 가격은 $160 X 1200원 X 해외 결제 수수료 = 195,000원 정도였다. 가격도 오르고 환율도 올라서 구매 버튼에 손이 잘 안 나갔지만 4월 말의 기쁨을 상상하며 질렀다. 강환국 님은 6개월간 전략을 절대 수정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난 다행히(?) 아직 이렇다 할 수익/손실도 없는 상태이고, 연금저축/IRP는 전체 자산에서 떼서 따로 운영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전체 계좌의 포트폴리오도 전면적으로 수정하게 되었다. 거기에 금 비중은 매매 차익의 비과세 + .. 퀀트 투자, 동적 자산 배분 시작하다. 국내 상장 해외 ETF로 연금저축펀드, ISA, IRP 계좌에서 동적 자산 배분을 시작했습니다. 여러 가지 전략 중에 VAA, 듀얼 모멘텀, LAA 전략을 조합해서 적용해 본 이야기입니다. 최근 강환국 님 유튜브와 거인의 포트폴리오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정적 자산 배분보다 높은 10% 초중반대 연복리 수익률에 MDD는 -20% 이하라니.. 거기에 거래 횟수도 많지 않은 전략도 많았습니다. 그리고 정적 자산 배분은 리밸런싱으로 비율 맞춰주는 것 말고는 너무 하는 게 없어서 지루했는데, 동적 자산 배분은 주식 비중안에서 개별 주식을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은 종목 교체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서 더 재미도 있는 것 같았습니다. 저는 여전히 미국 직투 계좌가 아닌 기존의 연금저.. 연금저축펀드, ISA 종목 교체 요즘 연금저축펀드, ISA에서 국내 상장 ETF로 포트폴리오를 짜보면서 계속 궁금증이 생겨났다. 아직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미국 시장처럼 다양한 자산군에 해당하는 ETF가 많지 않아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더 어렵게 느껴졌다. 있다고 해도 주류 ETF가 아니면 시가총액, 거래량이 너무 작아서 투자하기도 쉽지 않아 보였다. 1.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는 내지 않아도 될 매매차익을 나중에 연금소득세로 낸다는 이유로 국내 주식형 ETF를 배제해야 할까? 그렇다면 리치고에서 추천하는 ARIRANG 신흥국MSCI(합성H) 종목으로 대체해야 할까? 환헤지도 싫고 수수료(0.5%)도 비싼데.. 2. 책에서 나온 대로 금은 투자할 가치가 없는 걸까? 포트폴리오에서 빼야 할까? 3. 리츠와 주식 중에서 선진국, 인도, ..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