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IRP 안전자산 추천 2 -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IRP 안전자산 30% 비중에서 담을 수 있는 ETF 중에서 해외 채권형 ETF인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에 대해서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는 기초지수 "KIS U.S. TREASURY BOND 0-1Y Index" 구성종목인 미국채 이외에 미국 달러표시 투자등급 회사채, 미국달러표시 KP(Korean Paper), 미국 달러선물에 투자하며 지수 대비 초과성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ETF입니다.

 

 

 

자산별 투자 성과 비교

 작년 말부터 국내외 주식 시장이 좋지 않았습니다. 주식 시장이 좋을 때는 주식을 30~40% 포함하고 있는 채권혼합형 ETF에 투자하면 안전자산 30% 비중안에서도 괜찮은 성과를 올릴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ETF가 KODEX TRF3070, KODEX 200미국채혼합입니다. 최근 6개월 간 성과는 KODEX TRF3070이 -2.43%, KODEX 200미국채혼합이 -6.03%로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그와중에 리츠 ETF에 대한 수익률이 눈에 띄네요. - 출처 : seibro.or.kr

 채권시장도 마찬가지로 금리가 인상되는 중이라 좋지 않았습니다. 안전자산에서 3년/10년 국고채 ETF 모두 6개월 기준으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 중입니다.

채권 ETF중에서도 인버스 ETF를 제외하면 6개월간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ETF 수익률이 가장 좋습니다. - 출처 : seibro.or.kr

 반면에 그동안 원/달러 환율은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1230원대까지 도달하면서 KODEX 미국달러선물 ETF와 같은 달러에 투자하는 ETF는 6개월간 약 3%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미국달러선물 ETF 성과 - 출처 : seibro.or.kr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특징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는 미국 단기 채권 ETF 이지만, 1년이하 단기채권이므로 원/달러 환율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ETF로 달러에 투자하려면 미국달러선물 ETF를 매수하면 됩니다. 하지만 IRP에서는 '선물' 키워드가 들어간 ETF는 매수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는 IRP 안전자산으로 달러에만 투자하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는 ETF로 현재는 유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장점이 있어서 그런지 2019년 7월에 상장한 이래로 순자산이 빠르게 증가해왔습니다. 올해 3월 말에 상장한 지 2년 8개월 만에 순자산 3,0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참고 :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ETF 순자산 3000억 돌파)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ETF 순자산 3000억 돌파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8일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3000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www.newsis.com

 위 기사 말미에 보면 '최근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했다.' 고 합니다. 그래서 꼭 IRP 계좌가 아니라도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는 위험 헷지용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3개월 평균 거래량도 10만 주가 넘어서 다른 채권 ETF에 비해서 원하는 가격에 사고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 수수료는 패시브 펀드가 아니기 때문에 0.30%로 다른 단기 채권 ETF에 비해서 비싼 것 같습니다.

결론

 최근처럼 주식 시장이 좋지 않을 때 그동안 하락한 주식/채권 혼합형 ETF을 투자해서 추후에 더 큰 상승을 기대하는 것은 IRP내에서 가장 공격적인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IRP내에서 보수적으로 자산 배분하기 원하는 투자자도 있을 것입니다. 안전자산 비중을 현금성 자산에 투자하려고 한다면 원/달러 환율에 대한 의견에 따라 국내 단기채권 ETF나 달러에 연동되는 ETF에 투자하면 될 것입니다.

 이때 달러에 연동되는 ETF에 투자하고 싶다면 TIGER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가 아직은 유일한 ETF입니다. 나중에 수수료가 저렴한 미국 단기 채권 패시브 ETF도 국내 시장에 상장되길 기대합니다.


이 정보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